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기준은 무엇인가요?
2025-01-01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위해서는 ①에너지자립룔 또는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요량 기준 ②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의 2가지 기준을 만족해야하며, 인증등급은 에너지자립률과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요량 기준 중 더 높은 등급산정 기준을 인증등급으로 합니다.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과 본인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2025-01-01
‘예비인증’은 인증 대상 건축물의 설계도서에 반영된 내용만으로 평가(ISO 52016 기반)하여 인증하는 것을 말하며, ‘본인증’은 최종 설계도서를 평가한 결과와 현장실사를 거쳐 인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을 받은 경우 본인증을 꼭 받아야 하나요?
2025-01-01
예비인증을 받아 제도적·재정적 지원을 받은 건축주 등은 건축법 제22조에 따른 사용승인을 신청하기 전에 예비인증 등급 이상의 본인증을 받아야 합니다. (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 제11조 제4항 관련)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고자 하는 경우 예비인증과 본인증을 모두 받아야 하는지?
2025-01-01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은 본인증을 의미합니다. 다만, 설계단계에서 해당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및 에너지자립률을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이므로 예비인증과 본인증 모두를 받기를 권장합니다.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에너지자립률이란 무엇인가요?
2025-01-01
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총소요량 대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순생산량의 비율입니다.
-
Q
에너지자립률에서 1차에너지 환산계수는 무엇인가요?
2025-01-01
1차에너지 환산계수는 전력생산 및 연료의 운송 등에서 손실되는 손실분을 고려하기 위해 적용하는 계수입니다. (연료 1.1 / 전력 2.75 / 지역난방 0.728 / 지역냉방 0.937)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요량이란 무엇인가요?
2025-01-01
대상 건축물의 난방, 냉방, 급탕, 조명, 환기의 에너지소요량을 산출하고, 이를 해당 공간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뒤 합산하여 산출한 연간 단위면적당 에너지소요량에 1차에너지 환산계수를 곱한 값을 의미합니다.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평가는 어느정도 소요되나요?
2025-01-01
주거용은 50일 이내, 주거용 외의 건축물은 60일 이내로 소요되며, 인증 처리 기간에는 신청서류 등의 인증 보완 기간과 공휴일, 토요일은 산입하지 않습니다.
-
Q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시, 대지 외 신재생에너지 인정 기준은 무엇인가요?
2025-01-01
건축물 대지 내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할 면적이 부족할 경우, 대지 외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여 그 생산량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대지의 소유자와 임차인 간의 계약서 등이 포함된 대지 및 건축물 사용동의서,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활용 동의서 등을 제출토록 규정하고 있으며, 대지 외 생산량에 대한 보정계수를 적용하고 있습니다.
-
Q
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의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나요?
2025-01-01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기 위해 제출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보고서를 기준으로 예비인증 시에는 설치계획, 본인증 시에는 설치결과와 현장점검을 통해 평가를 진행합니다.